박영철 (195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철은 재일 한국인으로, 유도 선수였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97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은퇴 후에는 오사카에서 정골원을 운영하다가 유술에 입문하여 사이고파 대동류 합기무술 오사카 분회장을 맡고 있다. 현재는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소노다 이사무
소노다 이사무는 일본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6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후쿠오카현 경찰 유도 강사로 활동하며 후진을 양성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유도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는 소련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소련 및 러시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러시아 유도 연맹 부회장을 거쳐 현재 러시아 유도 연맹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도요 대학 동문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도요 대학 동문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박영철 (195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종목 | 유도 |
출생일 | 1954년 4월 14일 |
출생지 | 일본 야마구치현 구가군 |
신장 | 175cm |
체중 | 78kg |
선수 경력 | |
올림픽 성적 | |
올림픽 순위 | 3위 |
올림픽 연도 | 1976 |
올림픽 체급 | 남자 80kg |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 |
세계 선수권 대회 순위 | 3위 |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 | 1979 |
아시아 지역 대회 성적 | |
지역 대회 종류 | AS |
국내 대회 성적 | |
메달 정보 | |
올림픽 | 1976 몬트리올 -80kg 동메달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1979 파리 -78kg 동메달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Bak Yeong-cheol |
일본어 이름 | 이노우에 에이테쓰 (井上英哲) |
2. 생애
재일 한국인으로 야마구치현 구가군에서 태어나 교토로 이사했다. 교토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요 대학에 진학했다. 대학 3학년 때는 전일본 학생 유도 우승 대회에서 도요 대학의 준우승에 기여했다.[4]
재일 한국·조선인 출신 유도 선수로 학창 시절부터 선수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중량급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준준결승에서는 일본의 소노다 이사무에게 오오우치가리 기술로 유효 포인트를 내주며 패배했다. 이후 197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78kg급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이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해당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오사카에서 정골원을 운영했다.[2] 이후 유술에 관심을 갖게 되어 1996년에는 "사이고파 대동류 합기무술"에 입문했으며, 현재 오사카 분회장을 맡고 있다.[5][6]
자녀들을 위해 일본 국적을 취득했으며, 이로 인해 재일 사회와는 다소 거리가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2][7]
3. 선수 경력
3. 1. 학창 시절
재일 한국인으로 태어나 교토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도요 대학에 진학했으며, 3학년 재학 중 전일본 학생 유도 우승 대회에 출전하여 도요 대학이 준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4]
3. 2. 올림픽 및 국제 대회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중량급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여, 준준결승에서 소노다 이사무에게 오오우치가리 기술로 유효를 내주며 패배했지만 최종적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4] 이후 1979년에 열린 197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78kg급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듬해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대회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참가하지 못했다.
4.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오사카에서 정골원을 운영했다.[2] 이후 유술에 관심을 갖게 되어 1996년에는 "사이고파 대동류 합기무술"에 입문하였고, 현재는 오사카 분회장을 맡고 있다.[5][6]
또한, 현재는 자녀들을 위해 일본 국적을 취득했으며, 이로 인해 재일 사회와는 거리가 멀어졌다고 전해진다.[2][7]
5. 주요 전적
참조
[1]
Sports-Reference
https://web.archive.[...]
2012-06-22
[2]
서적
魂の相克 在日スポーツ英雄列伝
講談社
[3]
웹사이트
Park Yeong-Cheol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www.sports-re[...]
[4]
뉴스
在日韓国籍柔道家の活躍と反骨の柔道王秋山成勲
http://www.fujitv.co[...]
フジテレビジョン
[5]
웹사이트
西郷派大東流合気武術・総本部尚道館
http://www.daitouryu[...]
[6]
웹사이트
西郷派大東流合気武術 宗家一身等門人ならびに一身等会員
http://www.daitouryu[...]
[7]
뉴스
<在日社会>五輪と私・重圧はね返し闘った
http://www.toyo-keiz[...]
[8]
뉴스
안창림만이 아니다… 올림픽 빛낸 '오리지널 코리안' 재일동포들
https://www.hankoo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